• 간호계뉴스
  • "월세도 못 내" 간호사들 생활고…의정갈등 불똥, 책임은 누가

    2024.06.28 | 조회수 276 | 출처 : 기타정보

  • "월세도 못 내" 간호사들 생활고…의정갈등 불똥, 책임은 누가

     
     

     

     

    희귀질환자, 간단한 조직 검사도 못해…의료기기 업체는 매출 최대 70% 감소

     

    세브란스 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27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진료실 전광판에 '휴진'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 /사진= 뉴시스 /사진=홍효식
    27일 국회에서 열린 '의료공백 장기화 사태 병원 노동자-환자-산업계 긴급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발언하고 있다./사진= 박미주 기자

    "(의사 집단행동 사태 이후) 응급실이 최소화로 운영되고 의료수익은 하루 100억원 이상, 총 3000억원 이상 감소를 얘기하고 있습니다. 병원은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각종 비용을 절감하라는 메일을 계속 보내고 있습니다. 무급휴가를 쓰라고 계속 공지하는데 내가 일하던 병동이 폐쇄돼 강제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희망퇴직도 권장하는 상태입니다."(권미영 연세세브란스노동조합 위원장)

     

    "간호사들은 월세를 내지 못하거나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한다거나 생활이 어렵다 보니 조합에 문의가 많이 옵니다. 의정갈등이 깊어지고 누구 하나 풀어주는 곳은 없는데, 억울함과 분노를 감출 수 없습니다."(이은영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경희의료원지부장)

     

    세브란스 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27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진료실 전광판에 '휴진'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 /사진= 뉴시스 /사진=홍효식
    세브란스 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27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진료실 전광판에 '휴진'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 /사진= 뉴시스 /사진=홍효식

    이은영 지부장은 "병원에 남은 조합원들은 무급휴직을 가고 병원 내 일반 업체, 커피숍 이런 곳들까미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데 누가 피해를 보상할지, 누가 문제를 해결할지 막막한 가운데 조합원들이 무기력함과 우울감에 빠져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보건의료노동자들은 전공의 등 의사들의 많은 갑질에 시달리기도 한다"며 "한 산부인과 의사는 간호사들에 많은 업무를 맡기면서도 '병원에서 돈 버는 건 우리야, 우리가 그만 두면 상급종합병원 유지도 못해, 우리가 주인이다'라는 말을 공공연하게 해 간호사들이 분노하고 모멸감을 느끼기도 했다"고도 언급했다.

     

    환자단체에선 희귀질환자도 진료를 보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고 전했다. 희귀질환을 앓고 있는 아들을 양육한다는 서이슬 한국PROS환자단체 대표는 "서울대병원 등 대형병원 교수들이 집단휴진에 나서면서 중증·희귀난치질환은 진료를 볼 수 있게 하겠다고 했지만 아이에 임상약물을 적용하기 위한 조직검사마저 마취과 의사가 없다는 이유로 수개월째 못 하고 있다"며 울먹였다.

     

    의료기기산업계에선 매출이 최대 70%까지 줄어드는 고통을 겪고 있다고 했다. 임민혁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본부장은 "의료기기산업에 약 7000개의 업체가 있고 그 중 연 매출 20억원 미만이 80%를 차지하고 있는데, 영세한 업체들, 특히 대리점 영업을 하는 업체가 매우 심각하게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이라며 "6개월 사이 20%에서 최대 70%까지 매출액이 감소한 상태"라고 말했다. 또 "영세 의료기기 업체는 재고관리와 인건비 문제가 심각하고 병원들은 결제 대금을 3~6개월까지 지연하고 있다"며 "의료기기산업 발전의 저하가 우려된다"고 했다.

     

    공급망이 망가지며 필수의료를 위한 의료기기의 공급이 중단될 가능성까지 있어 환자 피해가 커질 수 있을 것으로도 우려했다. 임 본부장은 "하반기엔 필수의료에 쓰이는 의료기기 공급이 어려운 상황이 예측된다. 중환자실에 들어가는 의료기기의 공급망이 망가지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그는 "정부가 의료기기 업체들의 운영자금 확보를 위한 무이자·저이자 대출 지원책 등을 강구해줬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간담회에 참석한 김윤·이수진·전진숙·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전종덕 진보당 의원 등은 사태 해결을 위해 힘을 보태겠다고 했다.

     
     

이 시각 가장 많이 본 뉴스